티스토리 뷰
목차
부모 육아 휴직제란 생후 18개월 이내의 영아기 자녀에 대한 돌봄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가족들에게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제도로 2024년에 새로운 소식이 있어 이를 전하고자 합니다.
1. 개편 내용
2024년, 기쁜 소식이 찾아왔습니다!
3+3 부모 육아 휴직제가 6+6 부모 육아 휴직제로 업그레이드되었답니다.
자녀의 연령은 12개월에서 18개월로 더 확대되었고, 휴직 적용 기간도 3개월에서 6개월로 늘어 육아하시는 부모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지원금도 기존의 월 최대 300만 원에서 450만 원까지 상향 조정되어 부모님들에게 더 큰 혜택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더 다양한 가정에서 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대상도 확대되었답니다.
2. 육아 휴직 급여
육아 휴직 급여는 만 8세(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가 자녀를 돌보기 위해 「남녀 고용 평등과 일 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원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이는 부모들이 자녀의 성장과 교육을 위해 일시적으로 휴직을 취하고, 그동안에도 경제적으로 안정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6+6 부모 육아 휴직제는 생후 18개월 내 자녀를 둔 부모 모두가 육아휴직을 사용할 때 적용되는 혜택입니다.
첫 6개월 동안 부모에게 각각 육아휴직 급여가 상향 조정되어 지급됩니다.
이를 통해 초기 영아기 자녀에 대한 맞춤형 돌봄 문화를 확산할 것입니다.
부모들이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제도가 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부모 육아 휴직제는 가족들에게 더 큰 지원을 제공하여 행복하고 건강한 육아 환경을 조성하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부모가 동시에 또는 번갈아 가며 육아휴직을 선택할 경우, 아빠는 최대 6개월, 엄마도 최대 6개월 동안 각각 상향된 육아휴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부모 양쪽이 번갈아 가며 자녀를 돌봄으로써 더 나은 육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는 것이 '6+6 부모 육아 휴직제'입니다.
3. 6+6 부모 육아 휴직제 지원 자격 – 생후 18개월 이내 자녀를 둔 부모
생후 18개월 이내 자녀를 돌보기 위해 부모가 함께 육아휴직을 선택하면, 각 부모는 첫 6개월 동안 자신의 통상임금의 100%를 육아휴직급여로 받을 수 있습니다.
생후 18개월 이내 자녀를 돌보는 부모들을 위한 특별한 혜택으로, 일자리와 가정을 양립하며 자녀를 돌보는 데 필요한 육아휴직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4. 6+6 부모 육아 휴직제 지원 금액 – 월 200~450만 원, 최대 6개월
첫 달에는 200만 원의 지원금이 지급되지만, 그 이후에는 매월 50만 원씩 상향 조정됩니다. 최대 6개월 동안 최대 450만 원까지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6개월째는 부모 각각 450만 원을 받아 최대 1950만 원까지 지원받는 것입니다.
아래 사용 기간별 최대 지급액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5. 6+6 부모 육아 휴직제 신청 방법
6+6 부모 육아 휴직제를 신청하는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오프라인 신청
근로자가 거주지나 사업장 소재지의 관할 고용센터에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해 육아휴직 확인서와 급여신청서 등의 구비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2) 온라인 신청
고용보험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사업주가 육아휴직 확인서를 접수하고 근로자가 고용보험 사이트에 급여신청서를 접수하면 됩니다.
필요 서류는 육아휴직 급여신청서(근로자), 육아휴직 확인서(사업주), 임금대장(임금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
부모들이 동시에 육아휴직을 통해 자녀를 돌보는 경우라도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면서도 안정된 환경에서 육아를 할 수 있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일자리 10대 사업, 청년이 꼭 알아야 할 내용 (0) | 2024.01.29 |
---|---|
청년도약계좌 일시 납입 방법 및 신청 기간 (0) | 2024.01.27 |
중증장애인 근로자 출퇴근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과 내용 (0) | 2024.01.24 |
디딤씨앗통장, 신청 방법 및 지원 대상의 확대 (0) | 2024.01.23 |
기후동행카드 가격과 이용방법 (0) | 2024.01.22 |